지금 신청하면 2025년 확대된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어요.
65세 이상도 신청 가능! 우리 가족 조건에 맞는 서비스
발달장애인 지원기관 찾기
복지로 바로가기
국민행복카드 발급 바로가기
성인이 된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님들께서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낮 시간 돌봄 문제입니다. "학교를 졸업한 후 우리 아이가 어디서 무엇을 하며 지낼까?" 이런 걱정을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입니다.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는 만 18세 이상 성인 발달장애인이 낮 시간에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복지서비스입니다.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운영되며, 본인부담금 없이 전액 무료로 제공됩니다. 단순한 돌봄을 넘어 음악, 미술, 체육 활동부터 요리, 원예, 도예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된 재능을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신청 자격은 만 18세 이상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이며, 2025년부터는 연령 제한이 폐지되어 65세 이상도 이용 가능합니다.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최중증 발달장애인은 20% 우선 선정됩니다. 다만 주 20시간 초과 취업자, 장애인 거주시설 입소자(그룹홈 제외), 다른 낮시간 서비스를 주 20시간 초과 이용하는 경우, 방과후활동서비스 이용자, 재외동포 및 외국인 장애등록자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신청은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바우처로 제공되므로, 먼저 카드 발급이 필요합니다. 신청 절차는 3단계로 진행됩니다. 1단계는 국민행복카드 발급으로 BC카드(1899-4651), 롯데카드(1899-4282), 삼성카드(1566-3336), KB국민카드(1599-7900), 신한카드(1544-8868) 등 카드사 지점, 홈페이지, 전화로 신청 가능합니다. 2단계는 복지로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주간활동서비스 바우처를 신청하는 것입니다. 3단계는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1566-3232)에서 원하는 기관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사회보장급여(사회서비스이용권) 신청서, 바우처카드 발급 신청서, 장애정도 확인서류(필요시), 장애정도 심사서류(해당자) 등입니다. 주민등록등본, 장애등록현황, 수급자 여부는 기관에서 확인합니다.
2025년에는 서비스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연령 제한이 폐지되어 65세 이상도 이용 가능하고, 대상자가 2,000명 확대되었으며, 서비스 단가가 2.9% 인상되었습니다. 또한 긴급돌봄센터 2개소가 신설되고 거점병원이 16개소에서 20개소로 확충되었습니다.
서비스 유형은 기본형(월 132시간)과 확장형(월 176시간)으로 나뉘며, 시간당 단가는 16,620원입니다. 도전적 행동이 있어 그룹활동이 어려운 경우 1인 집중지원(시간당 24,930원)도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은 참여형 활동(산책, 동아리, 직장탐방, 문화관람, 수영 등)과 창의형 활동(음악활동, 미술, 제과제빵, 도예, 사진, 공예 등)으로 구성되며, 지역사회 참여를 위해 외부활동이 30% 이상 포함됩니다.
신청 전에는 국민행복카드 발급 여부, 현재 이용 중인 다른 낮시간 서비스 여부(주 20시간 기준),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여부(중복 시 급여량 일부 차감 가능), 취업 상태(주 20시간 초과 근무 시 이용 불가), 제공기관의 거리와 프로그램 내용, 시설 환경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문의는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1566-3232), 발달장애인지원센터(1800-5921), 보건복지부 장애인서비스과(044-202-3349)로 할 수 있습니다.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 누리집에서는 지역별 제공기관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소중한 복지서비스입니다. 2025년 연령 제한 폐지와 대상자 확대로 더욱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이라면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전액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바우처를 신청하여 월 132~176시간의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외부활동 30% 이상과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단순한 돌봄을 넘어 개인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꿈을 향한 날갯짓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